후계자 내공키우려면 밑바닥부터

중기, 家業승계의 재발견<5·끝> 전문가들의 5대 성공 제언
갑자기 돌아온 해외유학파 CEO는 밀착 리더십 발휘 어려워
기업현장에 오랜 기간 종사하고 회사생리 다 알아야
[특별취재팀= 이은정 기자, 이지은 기자, 박혜정 기자, 이정민 기자]
가업 승계는 세대 교체 중인 중소기업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고용 시장의 87.7%를 담당하고 전체 사업체의 99.9%를 차지하는 국가 경제의 엔진이다. 지난 60여년간 산업현장을 누비던 창업세대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기업별 가업승계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경제가 가시밭길을 걸을 수 있다. 우리 중기가 수십 년간 쌓아온 기술과 경영 노하우를 경제적으로 보전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대책이 바로 가업승계인 셈이다.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인 창조경제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도 가업승계를 통한 지속성장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가업승계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눈길은 차갑고 날이 섰다. 일부 기업의 편법 증여나 일부 2~3세의 경영실패 등으로 가업승계를 ‘부의 대물림’으로 치부하는 것이다. 깨끗하면서도 당당한 가업승계 문화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아시아경제신문은 김진형 중소기업중앙회 국장, 강상훈 한국가업승계협의회 회장, 김유찬 홍익대 교수, 남영호 건국대 교수 등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기업과 국가 경쟁력을 함께 끌어올릴 수 있는 가업승계 5대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