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가업승계

창업 1, 2세대 경영자들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가업승계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있다.

2014년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CEO의 평균 연령은 지난 1993년 48.2세에서 2013년에는 51.9세까지 높아졌으며, 60세 이상 고령자 CEO의 비율도 1993년 10.6%에서 2013년 15.9%로 증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들의 승계에 대한 준비율은 현저히 떨어진다. 통계청이 올해 2970개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78.2%가 ‘가업승계 계획없음’ 이라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업승계 예정’ 이라고 대답한 기업은 전체의 9.7%에 불과했다.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의 가업승계를 장려하기 위해 가업승계를 잘 해나가는 기업을 명문장수기업으로 인증해주는 제도를 도입하고, 매년 세제지원을 확대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원활한 가업 승계를 위해 규제완화가 더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전문경영인을 도입할 여력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고, 승계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회사의 고용 등이 불안해지는 경우가 많기에 일단은 기업이 존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